반응형
VSCode를 이용하여 코딩을 하고 있었는데. 아래와 같이 한글이 깨진다.
VSCode는 기본적으로 UTF-8 인코딩 방식을 사용중인데, 설정을 한글 코드(EUC-KR)로 설정하면 된다.
UTF-8부분을 클릭하면 인코딩하여 다시 열기가 있다.
EUC-KR로 설정하면 된다.
그러면 코드쪽 한글이 깨지게 되는데, 코드에 커서를 올려두고 ctrl+z를 입력하면 돌아온다.
다시 컴파일하고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실행된다.
위의 방법은 파일마다 설정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.
아래는 윈도우에서 자체적으로 UTF-8을 지원하게 하는 방식이다.
윈도우 키를 누르고 지역을 검색하면 국가 또는 지역이 있다.
관리자 옵션에서 시스템 로캘? 변경을 클릭한다.
Beta: 세계 언어 지원을 위해 Unicode UTF-8 사용을 체크한 후 다시 시작을 한다.
다시 VSCode로 들어가면 분명 UTF-8로 되어 있지만 한글이 잘 나온다.
반응형
'메모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rida 사용 시 주의 사항. (1) | 2023.03.14 |
---|---|
C언어 문자 입력 받을 시 주의사항 #문자 인식 못함, 문자 오류 (0) | 2022.07.30 |
VMware workstation 15 블루스크린 해결 #System Service Exception (0) | 2022.07.11 |
Windows 11 Git 설치 #GitHub (0) | 2022.07.10 |
Visual Studio Code C/C++ 설치 #VSCode (5) | 2022.07.09 |
댓글